Dimension 변환하기

Written by Tejay
on 

Dimension 변환하기

17091100


1번 문제

17091101

코드 설명

이번 코드는 길이의 단위를 통해 값을 변화하는 함수를 만드는 것이다.

우선 함수를 inch에서 cm로 변환하는 함수, cm를 inch로 변환하는 함수, 두개로 나누어 만들고 최종적으로 함수에 파라미터 값을 단위와 길이를 받아서 값을 변화하는 함수를 만들었다.

우선 1inch가 cm로 환산하면 2.54cm가 된다. 이를 이용해서 inchToCm라는 함수에 값을 받으면 파라미터에 2.54를 곱해서 반환하고, cmToInch라는 함수에는 파라미터 값에 2.54를 나눠서 반환하는 함수를 만들었다.

그리고 lengthConvert라는 함수에서 unit이라는 현재 단위와 값을 입력할 때 unit이 “inch”이면 inchToCm함수를 실행하여 cm값을 반환하고 unit이 “cm”이면 cmToInch함수를 실행하여 inch값을 반환하는 함수를 만들었다.


2번 문제

17091102

코드 설명

이번 코드는 면적의 단위를 통해 값을 변화하는 함수를 만드는 것이다.

우선 함수를 평에서 제곱미터로 변환하는 함수, 제곱미터를 평로 변환하는 함수, 두개로 나누어 만들고 최종적으로 함수에 파라미터 값을 단위와 길이를 받아서 값을 변화하는 함수를 만들었다.

우선 1평이 제곱미터로 환산하면 0.393701제곱미터가 된다. 이를 이용해서 pyeongToM2라는 함수에 값을 받으면 파라미터에 0.393701를 곱해서 반환하고, m2ToPyeong라는 함수에는 파라미터 값에 0.393701를 나눠서 반환하는 함수를 만들었다.

그리고 volConvert라는 함수에서 unit이라는 현재 단위와 값을 입력할 때 unit이 “pyeong”이면 pyeongToM2함수를 실행하여 제곱미터값을 반환하고 unit이 “m2”이면 m2ToPyeong함수를 실행하여 평값을 반환하는 함수를 만들었다.


3번 문제

17091103

코드 설명

이번 코드는 온도 단위를 통해 값을 변화하는 함수를 만드는 것이다.

방식은 위에 짠 코드에서 값만 바꿔서 만든 것이다. 그래서 딱히 크게 설명할 부분은 없다. 함수를 만들고 이것을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한 연습문제다.


4번 문제

17091104

코드 설명

이번 코드는 데이터 단위를 통해 값을 변화하는 함수를 만드는 것이다.

위에 문제와 크게 다르지 않다.


5번 문제

17091105

코드 설명

이번 코드는 시간을 단위로 받으면 그 시간을 초 단위로 바꾸고 초 단위에 값이 들어오면 그것을 시간(시, 분, 초) 단위로 바꾸는 함수이다.

함수를 통해 현재의 단위가 무엇인지 그리고 그 값이 무엇인지에 대한 파라미터 두개를 받기로 하고 함수 내에 받은 값을 계산하기 위한 변수와 최종값을 넣어줄 변수 두개를 만들었다. 우선 조건문을 통해 현재 단위의 파라미터가 무엇인지 판별해서 계산하도록 했다.

단위가 시간이면 그것을 일단 시와 분과 초로 나누기 위해 100으로 나누어 처음에는 초, 두번째는 분 마지막은 시를 나타내는 값을 받아 최종 값에 넣기로 했다. 처음의 초에는 단위가 초이기에 그냥 더해주고 두번째는 분이기 때문에 받은 값에 60을 곱해서 더해주고 마지막 시는 3600을 곱해서 최종값에 더해주고 이 값을 반환했다.

단위가 초일 경우에는 시, 분, 초 순서대로 구해서 최종값을 반환하기로 했다. 우선 파라미터로 받은 값을 변수로 만들어 주고 그 값에 3600으로 나누면 그 몫은 시간이 되고 나머지 값에 60을 나누면 분이고 60으로 나눈 나머지는 초가 된다. 우선 첫번째 3600으로 나눈 몫을 구해주고 그 값에 100을 곱해서 그 다음 60으로 나눈값을 더해주고 100을 곱하고 마지막으로 다음 나머지 값을 더하면 원하는 시간의 단위로 변환이 되고 이 값을 리턴값으로 반환했다.